<aside> 📢
최근 몇 년간 사회복지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화두는 ‘돌봄’이 아닐까 싶다.
저출산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가족 구조와 기능 변화 등 위기를 상징하는 언어들이 보내는 경고음은 심상치 않다. 혹자는 이를 가족-시장-국가로 구성된 복지국가 체제의 균열로 해석하기도 한다.
경제위기와 기후위기 돌봄위기가 중첩된 복합위기 시대의 징후들은 탈시설화, 탈가족화, 지역사회 통합돌봄 등 다양한 정책 변화를 거쳐 복지국가 그다음, ‘돌봄사회’로의 전환 논의까지 이끌어내고 있다.
여러 대안적 논의의 근저에는 가족이 ‘삶의 기본 단위’로서 역할을 충분히 해내지 못한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더 이상 가족이 돌봄을 책임지는 주체가 아니라는 문제의식, 이는 ‘가족’에 대한 배신이 아니라 가족에게 책임을 묻는 ‘사회’에 대한 질문에 가깝다.
가족이 아닌 지역사회가 삶의 기본 단위가 될 수는 없을까?
</aside>
<aside> 💬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이나, 최근 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시도되고 있는 자산기반 접근, 의료복지사협 등 사회연대경제조직들의 서로돌봄‧마을돌봄 사례는 가족/시설중심에서 지역사회 중심으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중요한 혁신 사례다.
</aside>
기존의 접근이 시설 중심의 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들 사례는 개인과 그룹의 강점, 지역사회의 자원을 강조한다. 기관 운영시간에 열리는 프로그램이 아닌 문 닫은 이후 저녁과 주말의 일상을, 해결해야 할 문제보다 개인의 장점과 역량을, 기관의 예산이나 사업 범위에 머무르지 않고 연계 가능한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에 주목한다.
이때 개인은 사례관리사의 지원이 아닌 공동체 활동을 통해 생활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관계망을 통해 필요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다. 정책의 대상이나 서비스 이용자가 아니라 주민이자 당사자로서, 개인이 겪는 문제를 지역에서 함께 해결할 수 있는 환경이 핵심이다. 주거, 돌봄, 의료, 교육, 일자리, 문화, 여가 등 주민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생활상의 필요자원은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 있다.
서비스 이용자가 아닌 주민으로서의 삶을 고려한다는 것은 가족에서 지역사회로 센터 사업의 영역과 범위를 확장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러한 변화는 지역사회 기관과의 협업과 네트워크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가족센터는 단순히 가족을 지원하는 기관을 넘어 지역사회 중심의 돌봄 허브로 자리 잡을 수 있을까?”
지역사회 자체가 삶의 안전망이 될 때, 누구도 고립되지 않고 존엄한 삶을 살아갈 수 있다. 가족센터와 사례관리사, 그리고 다양한 혁신조직이 서로 연결되어 공동체 기반의 돌봄을 실현할 때 지역사회는 든든한 삶의 터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주민과 조직,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서로를 돌보는 사회, 이것이 우리가 꿈꾸는 새로운 돌봄의 풍경이다.